한국전력 주가전망 상승요인 총 정리

반응형

한국전력 주가전망 상승요인 총 정리

한국전력 주가전망 상승요인 총 정리

 

1. 기업 개요

적자에 허덕이던 한전이 드디어 흑자 전환에 성공했어요!
무려 3년간 43조 원의 누적 적자를 냈던 기업이, 2024년에는 8.4조 원의 영업이익을 낼 전망이고요,
2025년에는 그보다 더 늘어난 12.7조 원, 2026년엔 14조 원을 넘길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요.
지금의 한국전력은 과거의 한전이 아니에요. 실적, 밸류, 정책 모멘텀 모두 좋아지고 있어요.

👉 성공적인 주식 투자 전략 세우기

 

 

2. 실적 분석

최근 5개년 실적을 표로 정리해보면 이래요:

한국전력 실적

2024년은 무려 8.3조 원의 영업이익이 예상되고,
2025년에는 이보다 더 늘어난 12.7조 원의 실적이 기대되고 있어요.
이는 2021~2023년 누적된 적자 43조 원 중 절반 이상을 회복하는 셈이에요.
또한 연료비 하락 + 요금 현실화 + SMP 안정화 3박자가 맞아떨어지면서
이제는 “흑자 한전”이 완전히 자리 잡았다는 평가예요.

👉 주식 거래량 변화로 실적 흐름 읽는 법

 

 

3. 주가 전망

한국전력 차트

현재 주가는 22,250원, LS증권은 목표주가를 30,000원으로 제시했어요. 상승 여력은 +35% 이상으로 꽤 넉넉한 편이죠.

밸류에이션으로 보면 2025년 PER 2배, PBR 0.3배 수준으로 실적이 이만큼 회복됐는데도 아직 극단적인 저평가 상태에 머물러 있어요.
게다가 정책적으로도 에너지 구조 고도화와 투자 확대 필요성이 커지고 있어 앞으로 전력망 투자 + 탄소중립 관련 정책 테마로 주목받을 가능성도 높아요.

👉 주식차트보는법, 고수가 되는 3단계
👉 고점에서 나오는 차트 신호는?

 

 

 

매일 주도주가 바뀌는 시장, 막연하게 따라가기만 하면 수익 내기 어렵습니다.
매일 올라오는 종목 전략 글을 통해 시장의 흐름과 차트 흐름을 한눈에 파악해보세요.

👉 종목 전략 최신글 보러가기

👉 배당투자, 장기 vs 단기 중 내게 맞는 전략은?

 

4. 상승 요인

요금 현실화로 실적 정상화

  • 2020년 말부터 누적 8차례 요금 인상 → 산업용 요금 70% 인상
  • 연료비 연동제 재개로 유가 급등기 손실 방지
  • 요금 구조 개선되면서 이익 체력 회복 중

전력 직접구매 제도(DPPA) 개편 모멘텀

  • 기존엔 한전이 너무 싸게 전기를 팔아 제도가 사실상 무용지물
  • 2024년부터 한전 요금이 더 비싸지자 기업들이 직접구매로 전환 시작
  • 전력 소비 대기업이 한전을 거치지 않고 SMP 가격으로 전기 구매 가능
    → 기업에는 유리하지만, 한전에겐 부담 요인
    → 향후 직접구매제도 관련 추가 요금 인상 필요성 제기

전력망 투자 확대 필요성

  • 누적된 적자 35조 원 해소는 국가 인프라 확충을 위한 선결 과제
  • 탄소중립·신재생 확대 위한 송배전망 구축에 투자 필요
  • 2028년 한전채 발행한도 축소 전까지 수익 기반 강화 필요
    요금 인상→수익 확보→전력망 투자 확대라는 선순환 구조 기대

저평가 매력 & 공기업 구조 개편 기대

  • PBR 0.3배, PER 2배 수준의 극단적 저평가
  • 흑자 기조가 굳어지면 공기업 구조 개선 및
    배당 재개·정책지원 강화 등 주가에 긍정적 재료 부각 가능

차트를 처음 배운다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할 수 있어요.
삼성전자 차트 예시로 정리된 11편 시리즈를 통해 기초부터 실전까지 순서대로 배워보세요.

📘 차트 기본기 11편 시리즈 보러가기

 

 

6. 결론

한국전력은 이제 적자 공기업이 아니에요.
흑자 전환, 구조 개선, 정책 모멘텀이라는 3가지 포인트를 모두 갖췄고,
무엇보다 이 실적은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게 핵심이에요.
단기보다는 중장기 관점에서,
에너지 인프라 확대와 신재생 전환의 중심에 선 한전을 다시 주목해보면 어떨까요?

👉 주식 공부, 핵심 4가지만 알면 충분해요


📚 주식 기초 시리즈 전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