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사태와 국내 증시 영향

반응형

 

1. 딥시크, AI 시장을 뒤흔든 중국의 새로운 변수

최근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글로벌 AI 업계에서 급부상하며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정부와 주요 기관들이 딥시크 사용 금지령을 내리는 등 국가 안보 및 데이터 보안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편, 딥시크의 AI 모델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반도체와 소규모 인프라를 활용하면서도 뛰어난 성능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AI 시장의 판도를 흔들 수 있는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2. 딥시크란 어떤 기업인가?

딥시크는 2023년 설립된 중국의 AI 스타트업으로, 창업자인 량원펑(梁文峰)이 이끌고 있습니다.
량원펑은 해외 유학 경험이나 빅테크 근무 경험 없이 순수 중국 내수 IT 인재로 성장한 인물로, 기존 AI 모델을 뛰어넘는 초거대 AI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딥시크는 단순한 AI 챗봇 기업이 아니라, 범용 인공지능(AG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즉, 단순한 질의응답형 AI를 넘어, 인간과 유사한 사고력을 가진 AI를 개발하겠다는 것입니다.

① 딥시크의 주요 AI 모델

  • 딥시크-V3: GPT-4, Claude 3.5, Meta Llama 3을 능가하는 성능을 보이며, 글로벌 AI 시장에서 주목받음.
  • 딥시크-R1: 최신 AI 모델로, 오픈AI 및 마이크로소프트가 데이터 유출 및 무단 학습 가능성을 조사 중.

② 딥시크의 강점

  1. 낮은 비용으로 고성능 AI 개발
    • 미국의 대중 수출 제재로 인해 고성능 AI 반도체(예: 엔비디아 A100, H100)를 직접 수입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반도체를 활용하여 고성능 AI 모델을 구축함.
  2. 오픈소스 AI 전략
    • 딥시크는 AI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하여, 다양한 기업과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 이를 통해 AI 연구 및 개발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빠르게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움.
  3. 중국 정부의 강력한 지원
    • 딥시크 창업자인 량원펑은 중국 정부가 개최한 AI 심포지엄에서 유일하게 초청된 AI 기업 대표로, 중국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고 있음.

 

3. 딥시크에 대한 글로벌 반응과 논란

① 오픈AI, 딥시크 조사 착수

  • 오픈AI는 최근 딥시크가 AI 모델 훈련을 위해 오픈AI 데이터를 무단으로 수집했을 가능성에 대해 조사 중입니다.
  • AI 서비스 약관에 따르면, 사용자가 오픈AI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체 경쟁 모델을 개발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음.
  • 딥시크가 챗GPT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학습하여 자체 모델을 개선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됨.

② 미국과 대만, 딥시크 사용 금지 조치

  • 미국 NASA, 미 해군, 텍사스 주 정부, 대만 디지털부 등이 딥시크 사용 금지령을 내림.
  • CNBC 보도에 따르면, 딥시크가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중국 정부에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됨.
  • 미국 내 사이버 보안 전문가들은 딥시크 앱을 통해 악성 코드가 배포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

③ 유럽도 규제 가능성

  • 이탈리아 정부는 딥시크의 개인정보 처리 방식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며, 구글 및 애플 앱스토어에서 딥시크 신규 다운로드를 차단.
  • 미국과 유럽이 향후 딥시크의 AI 모델을 글로벌 시장에서 규제할 가능성이 높아짐.

 

4. 딥시크의 AI 기술 경쟁력은?

딥시크는 글로벌 AI 업계에서 ‘가성비 AI 모델’을 표방하며, 기존 AI 빅테크 기업들과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① 오픈AI vs. 딥시크

딥시크의 AI 모델은 저가형 반도체를 활용하면서도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AI 모델 개발 비용이 높은 오픈AI, 구글, 네이버 등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5. 딥시크, 글로벌 AI 경쟁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

① AI 시장의 새로운 변수 등장

  • AI 시장은 미국 중심의 오픈AI, 구글, 마이크로소프트가 주도하고 있었지만,
    딥시크의 등장으로 중국 AI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 새로운 변수를 제공하게 됨.
  • 미국과 유럽이 딥시크를 규제할 경우,
    중국 정부가 자국 AI 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가능성이 커짐.

② 한국 기업들도 새로운 대응책 필요

  • 네이버, 카카오, SKT 등 국내 AI 기업들도 딥시크의 급성장에 대한 대응 전략이 필요함.
  • AI 오픈소스 전략이 확대될 경우, 국내 기업들도 AI 생태계를 활용한 경쟁력 강화 전략을 고려해야 함.

 

6. 국내 증시 영향

딥시크가 발표됨에 따라 국내 증시 영향도 크게 작용을 하고 있습니다.

우선 저비용으로 AI를 구축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 AI 소프트웨어 관련주들이 모두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반도체 관련주, 특히 HBM 관련주들은 앞으로도 고사양의 HBM 발주가 줄어들 수도 있다는 우려감에 최근 주가가 많이 약합니다.

이렇듯 딥시크로 인한 영향이 분명하게 나뉘고 있는 현재 국내 시장입니다. 

 

결론

딥시크의 등장은 AI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고 있으며,
미국과 유럽의 규제, 중국 정부의 지원, 오픈AI와의 경쟁 구도 등 다양한 변수들이 작용할 전망입니다.

특히, 딥시크가 낮은 비용으로 높은 성능을 제공하는 AI 모델을 구축하면서, 기존 AI 업계의 지형을 바꿀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딥시크의 성장과 이에 따른 AI 시장 변화가 국내 증시에도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